[경제신문 읽기] 2022.12.13
美 3대 SMR에 지분 투자…韓기업 '630조 시장' 수주 파트너로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121208571
[단독] 美 3대 SMR에 지분 투자…韓기업 '630조 시장' 수주 파트너로
[단독] 美 3대 SMR에 지분 투자…韓기업 '630조 시장' 수주 파트너로, 엑스에너지에 1.3억弗 뉴스케일파워·테라파워 이어 美정부가 밀어주는 3곳에 투자 두산에너빌리티, 주기기 제작 DL이앤씨는 아
www.hankyung.com
기사 내용
SMR 상용화에 가장 가까이 다가선 기업은 3세대 원전(가압경수로 방식)의 선두주자인 뉴스케일파워다. 미 정부로부터 설계 승인을 획득한 유일한 기업으로 2029년 아이다호주에서 상업운전을 시작하는 게 목표다. 한국은 2019년 두산에너빌리티·웨일인베스트먼트·기업은행 등이 함께 4400만달러를 투자했다. 미국 SMR 기업에 대한 한국 기업의 첫 투자였다. 이후 삼성물산과 GS에너지도 파트너사로 참여했다. 뉴스케일파워의 주기기 제작은 두산에너빌리티가, 설계·조달·시공(EPC)은 삼성물산이, 아시아 지역 개발 사업은 GS에너지가 맡을 전망이다.
테라파워와 엑스에너지는 각각 소듐냉각 방식과 고온가스냉각 방식으로 SMR 상용화를 추진 중인 4세대 SMR의 선두주자다. 테라파워는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가 2008년 설립한 기업으로, SK그룹이 지난 8월 2억5000만달러를 투자했다. 두산에너빌리티와 엑스에너지는 한국 기업들의 이번 1억3000만달러 투자 논의 전인 2021년 8월 주기기 제작설계 용역 계약을 맺었다. 엑스에너지는 두산에너빌리티에 주기기 제작을, DL이앤씨에 EPC와 아시아지역 개발 사업을 맡길 가능성이 크다. 업계 관계자는 “뉴스케일파워는 투자액에 비례해 수십 배의 발주를 한 것으로 안다”며 “초기 투자는 한·미 원전 동맹을 강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미 에너지부는 2020년 10월 뉴스케일파워가 짓는 최초의 SMR에 10억4000만달러를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2020년 5월에는 차세대 원자로 개발 프로그램(ARDP)을 통해 엑스에너지와 테라파워의 SMR 실증·투자비 50%를 지원하기로 했다. 엑스에너지에 대한 지원 규모는 총 12억달러에 달한다.
※ 미국 3대 SMR 업체와 한국 협력 전망 (예상)
뉴스케일 파워
- 3세대 원전(가압경수로 방식)
- 주기기 제작(두산에너빌리티), 설계·조달·시공(삼성물산), 개발사업(GS에너지)
테라파워
- 4세대 원전(소듐냉각 방식)
- 개발사업(SK그룹)
엑스에너지
- 4세대 원전(고온가스냉각 방식)
- 주기기제작(두산에너빌리티), EPC 및 개발산업(DL이엔씨)
'경제적자유 > 경제신문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그림 서비스 저작권 (1) | 2022.12.13 |
---|---|
탱커 발주 전망 (0) | 2022.12.13 |
가명정보 결합 (2) | 2022.12.12 |
인도 타타 반도체 투자 (1) | 2022.12.10 |
MS 블리자드 인수 제동 (0) | 2022.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