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신문 읽기] 2023.01.27
시 쓰고 그림 그리고…AI 게임체인저 '챗GPT' 돌풍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12657401
시 쓰고 그림 그리고…AI 게임체인저 '챗GPT' 돌풍
시 쓰고 그림 그리고…AI 게임체인저 '챗GPT' 돌풍, 정보 생성·지식 대화 넘어 그림·詩 등 창작분야 도전
www.hankyung.com
기사 내용 정리
챗GPT란?
챗GPT는 오픈AI의 생성 인공지능(AI) GPT-3를 개량한 GPT-3.5를 기반으로 만들었다. 기계가 인간 언어를 이해하고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대규모 언어 모델(LLM)의 대표적 사례다. LLM은 단어를 조합해 나오는 문장 가운데 자연스러운 문장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통계학적 모델이다.
GPT-3의 파라미터(매개변수)는 1750억 개에 이른다. 이르면 올해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GPT-4는 파라미터 100조 개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챗GPT 등장에 따른 변화 전망
검색시장
마이크로소프트는 자사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에 오픈AI의 다양한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오피스 프로그램에서 자동으로 글을 써줄 수 있고, 발표 주제에 맞는 그림을 만들어줄 수도 있게 된다.
가장 크게 관심을 끈 것은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 엔진 ‘빙’에 챗GPT를 도입하기로 한 점이다. 그동안의 검색 서비스는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해 유사성이 높은 웹페이지 링크를 차례대로 보여주는 게 핵심이었다. 하지만 챗GPT는 웹사이트를 보여주는 대신 이용자의 질문에 곧바로 정답을 제시한다.
그림, 음악 창작
오픈AI가 개발한 달리2(Dall-E2), 미드저니 AI연구소의 미드저니, 스테빌리티AI의 스테이블 디퓨전 등 딥러닝 방식의 이미지 생성 AI가 최근 잇따라 등장했다.
거짓 정보 확산 우려
미국에선 챗GPT를 과제 작성에 활용하는 사람이 늘어났다. 이 때문에 뉴욕과 시애틀의 일부 공립학교는 학교에서 챗GPT 접속을 금지했다. 네이처지는 챗GPT와 같은 도구를 논문에 사용할 경우 명시해야 한다는 원칙을 제시하기도 했다.
AI가 생성한 글을 통해 거짓 정보가 오갈 수 있다는 점도 걱정거리다. AI는 온라인 웹사이트와 뉴스, 블로그 게시물 등의 데이터를 학습하는데 이곳의 정보 가운데 잘못된 내용이 섞여 있을 수도 있어서다.
"너 딸기 좋아하잖아"…내 취향 기억하는 AI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
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3012656801
"너 딸기 좋아하잖아"…내 취향 기억하는 AI
"너 딸기 좋아하잖아"…내 취향 기억하는 AI, 다른 '초거대 AI' 뭐가 있나 기억 끄집어내는 SKT '에이닷' KT '한국형 챗GPT' 출시 예정
www.hankyung.com
기사 내용 정리
국내 기업의 초거대 인공지능(AI) 개발
SK텔레콤
SK텔레콤은 최근 AI 서비스 ‘에이닷(A.)’에 장기 기억 기술을 반영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오래전에 입력된 정보를 반영하면 “너 택시 타는 것 좋아했잖아”, “생선 좋아한다더니 오늘은 별로였어?” 등과 같은 발언이 나올 수 있다.
KT
KT도 올 상반기 챗GPT와 엇비슷한 수준의 매개변수를 활용한 AI ‘믿음’을 상용화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신뢰할 수 있는’ 챗봇을 개발해 금융사 등에 공급하는 게 목표다.
LG
LG는 산하 연구기관인 AI연구원을 통해 초거대 AI ‘엑사원’을 개발 중이다. 엑사원은 대화, 이미지 생성 등에 두루 능하다. 신약 개발 후보 물질을 추리는 등 사람이 일일이 하기 어려운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으로 LG그룹은 기대하고 있다.
네이버
네이버는 한국어에 특화된 ‘하이퍼클로바’가 무기다. 음성인식 앱 ‘클로바 노트’ 등을 통해 AI 시장 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카카오
카카오도 대화형 AI와 이미지 생성 AI 등을 실험 중이다. 최근에는 의료용 영상 이미지를 AI로 분석하기 위해 주요 병원과 잇달아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관련 포스팅
2022.12.03 - [경제적자유/경제신문읽기] - 멀티모달 AI
2022.12.13 - [경제적자유/경제신문읽기] - AI 그림 서비스 저작권
2022.12.26 - [경제적자유/경제신문읽기] - 목적에 따라 다양한 AI 챗봇-ChatGPT
2023.01.18 - [경제적자유/경제신문읽기] - KT 대화형 초거대 AI 믿음(MIDEUM) 상반기 상용화 예정
2023.01.18 - [경제적자유/경제신문읽기] - 초거대 AI 전쟁
2023.01.25 - [경제적자유/경제신문읽기] - 국내 기업 초거대 특화 AI 추진 현황
'경제적자유 > 경제신문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 최대 해운동맹 '2M' 결별 (0) | 2023.01.27 |
---|---|
정부 데이터산업 육성 (0) | 2023.01.27 |
4분기 상가 공실률 소폭 상승 (0) | 2023.01.26 |
공유주거 시장 확대 (0) | 2023.01.25 |
국내 기업 초거대 특화 AI 추진 현황 (0) | 2023.01.25 |
댓글